헷갈리는 수동태 기본문법정리
주어 + 동사 + 목적어 를 수동형으로 바꿀때
S(원래목적어) + be + pp + by 주어
목적어가 문장의 주어로 가고 동사가 be+pp 인 수동형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리고 행위자를 나타내는 by+주어 형태를 쓰게 되는데 by 주어는 생략해서 많이 사용합니다.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와 가능한 경우는?
수동태를 만들때 목적어가 필요한 타동사(3-5형식)는 수동태 가능
목적어가 필요하지 않는 자동사(1-2형식)은 수동태 불가능
but, 자동사가 수동태가 가능한 경우는
S + 자동사 + 전치사 + O
S(원래전치사의목적어) + be pp + 전치사 + (by 주어)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
have, appear, seem, happen, occur
4형식의 수동태
4형식에서 수동태를 만들수 없지만 예외가 있습니다.
바로 give, offer, pay, allow, deny, teach, tell, ask 입니다.
give는 간목,직목이 모두 주어로 올 수 있고
give를 제외한 나머지 동사들은 간목만을 주어로 취하게 됩니다.
give를 이용한 수동태를 만들때
S가 간목 + be pp + 직목 : S는 직목을 받다
S가 직목 + be pp + 간목 : S는 간목에게 주어지다
<allow,ask,deny,teach,tell,pay,offer을 이용한 수동태를 만들때>
S가 간목 + be pp + 직목 : S는 직목을 받다
해석
S be allowed 직목 : S는 , 직목을 허락받다
S be asked 질문 : S는 질문을 받다
S be denied 직목 : S는 직목을 받지 못하다
S be taught 직목 : S는 직목을 배우다
S be paid 직목 : S는 직목을 지불받다
S be offered 직목 : S는 직목을 제공받다
5형식의 수동태
S + V + O + O.C(형용사,명사,~ing,tov,pp)
=> S(원래목적어) + be pp + O.C
예외)
make, hear, see가 동사인 5형식에서 목적보어가 동사원형일때 수동태는
o.c 자리에 to R로 만들어줘야합니다.
=> S + be p + to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