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보기

목차

1. to 부정사의 뜻 

2.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주어 역할 

- 목적어 역할 

- 보어 역할 

3.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4.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5. tov 부정사의 시제

6.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7. to 부정사의 수동태 

9. to 부정사의 부정 

10. 대부정사

11. 독립부정사 표현 

12. 관용표현 

 

1. to부정사란?

to 부정사는 ( to v ) 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 문장에서 명사적 용법, 형용사적 용법, 부사적 용법으로 쓰인다.

 

2.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은?

to 부정사는 문장 안에서 명사적 용법으로 쓰이는데 이때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한다.

1. S역할 

2. O역할 

3. C역할 

* 주어가 purpose, plan, aim, object, wish 등이 오면 C자리에 tov 가 온다.

4. 전치사의 목적어 

기본적으로 전치사 뒤에는 명사나 동명사가 오지만 예외 표현들이 있다. 

1. be about to v: 막 ~하려 하다 
2. have no choice but to v ~ ~하지 않을 수 없다.
3. know better than to v ~할만큼 어리석지 않다.

5. 의문사 to v 

Know, think 등의 인식류 동사는 know, think 다음에 바로 to가 올 수 없다. 

- know, think + to v(x)

- be known, thought to (o)

- 의문사+to v (o)

 

3.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1. 명사가 의미상 주어 

2. 목적어가 의미상 주어 

3. 명사+ to부정사+전치사 = 전치사 + 관계대명사 + to v 

house to live in = in which to live 

4. 동격

purpose, effort, wish, reason, ability, attempt, decision, resolution

5. 명사 + of + ing 

 

to 부정사의 be to 용법은?

예정, 의무, 의도, 가능, 운명 

 

4. to 부정사의 부사적용법은?

1. 목적: ~하기 위해 ( = so as to, in order to )

2. 결과: ~해서 그결과 ~하다
1) 무의지동사인 grow up, awake, live 등이 동사로 나왔을 경우 "결과"를 나타낸다
2) only to v 일때

3. 감정의 원인: ~해서, ~하니
감정의 동사, 형용사가 나왔을 경우 

4. 판단의 근거: ~하는 것을 보니, ~하다니 
1) 추측(must, cannot) 을 나타내는 문장 
2) 감탄문 문장 다음에 

5. 조건 (=if) 
* to 부정사가 주절 앞에 있다면 무조건 "조건"이나 "목적"으로 해석 된다. 

 

5. to 부정사의 시제

1. 단순부정사 (to V)
술어동사의 시제 = to부정사의 시제

2. 완료부정사 (to have p.p) 
술어동사의 이제보다 to부정사의 시제가 한 시제 더 앞섬 

 

6.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 

1. 의미상 주어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 
일반인 일때 / 문장 주어와 같을때 / 문장 목적어와 같을때

2. 의미상 주어를 표시하는 경우 
for 목적격 / of 목적격 ( 사람의 성질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올때 )

 

7. to 부정사의 수동태

1. 기본형: to v 
2. 수동태: to be p.p
1. 명사+ to v 구문 
명사가 행위의 주체이면 to v 는 to be p.p (수동태)가 아닌 to v (능동태) 가 와야 한다.

2. there is / are 구문 
there is to be p.p (수동태) / there is to v (수동태) 둘다 가능하다.

3. [가주어/진주어] 구문에서 to v 의 목적어가 자리 이동을 하면 to 부정사의 태는 수동태가 아닌 능동태가 와야 한다. 

4. 능동형으로 "수동"의 뜻을 가지는 to 부정사 
He is to blame : 그는 비난할 만 하다. (x) / 그는 비난받을 만 하다 (o)

 

7. to 부정사의 부정 

to v 앞에 not, never이 온다.

to v not (x)

 

8. 대부정사

앞에 나온 to 부정사, 동사구가 반복되지 않고 "to"만 쓰는 것 

(대명사와 비슷한 문법)

 

9. 관용표현 

1. too ... to v ~ = so ... that ~ cannot : 너무 ~ 해서 ~할 수 없다 
2. ... enough to v ~ = so ... that ~ can: ~하기에 충분히 ~ 하다 
3. so ~ as to v = so ... that ~ : 매우 ...해서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