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에 동사들은 be+ ing 로 쓰일 수 없다.

진행형이 가능한 예외적인 경우

have:  식사하다의 의미인 경우 -> be + having (o) 
see: 구경하다의 의미인 경우 -> be + seeing (o)

 

왕래발착동사는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구와 함께 쓰여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해석: ~할 것이다

사역동사의 종류

have, make, let 

사역동사의 뜻

have(시키다/당하다/용납하다,허용하다), make(시키다), let(허락하다,두다)

사역동사의 능동과 수동

have(부탁) + 목적어 + R , Ving (능동) / p.p (수동)
* have가 "용납하다"의 의미일시 목적보어: Ving
make(강요)+ 목적어 + R (능동) / p.p(수동)
let(방임,허용) + 목적어 + R (능동) / be p.p(수동)
* have, make와 다르게 수동은 be p.p로 써준다.
* let 의 수동태 
be let (x) -> be allowed to 

 

* help 동사

5형식- help+목적어+(to) R - to가 생략 가능함 

3형식- help+(to)+R - to가 생략 가능함 

 

* get 동사의 능동과 수동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능동인 경우 - get+목적어+to V ( 꼭 "to"를 써야한다)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수동인 경우 - get+목적어+p.p

  • 5형식구조(준사역동사) : S + V + O + to V (목적어가 toV를 하게하다)
  • 이때 쓰이는 동사들 : get, have (사역동사에 준하는 동사들)

* 이때 help + o + (to) V 에서 "to" 생략이 가능하다.

  • 5형식구조(사역동사) : S + V + O + R동사원형(능동) / p.p(수동) (O가 R 하도록 / p.p 되도록 시키다)
  • 이때 쓰이는 동사들 : make, have, let

* 이때 have는 목적보어로 V-ing 형태 가능 

  • 5형식 구조 : S + V + O + to V 
  • 이때 쓰이는 동사들 : force,forbid,advise,allow,ask,encourage,enable,expect,get,persuade,permit,urge,require,order,tell
  • 5형식 구조 : S + V + O + 명사 혹은 형용사 
  • 이때 쓰이는 동사 : call, name, mak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