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동사의 종류
have, make, let
사역동사의 뜻
have(시키다/당하다/용납하다,허용하다), make(시키다), let(허락하다,두다)
사역동사의 능동과 수동
have(부탁) + 목적어 + R , Ving (능동) / p.p (수동) * have가 "용납하다"의 의미일시 목적보어: Ving |
make(강요)+ 목적어 + R (능동) / p.p(수동) |
let(방임,허용) + 목적어 + R (능동) / be p.p(수동) * have, make와 다르게 수동은 be p.p로 써준다. * let 의 수동태 be let (x) -> be allowed to |
* help 동사
5형식- help+목적어+(to) R - to가 생략 가능함
3형식- help+(to)+R - to가 생략 가능함
* get 동사의 능동과 수동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능동인 경우 - get+목적어+to V ( 꼭 "to"를 써야한다)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수동인 경우 - get+목적어+p.p
'영어 > - 문장의5형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행형 불가 동사 종류 I 예외인 경우 설명 (0) | 2024.05.19 |
---|---|
왕래발착동사의 종류는? (0) | 2024.05.18 |
5형식 구조(준사역동사) : S + V + O + to V (0) | 2023.06.28 |
5형식구조(사역동사) : S + V + O + 동사원형 / p.p (0) | 2023.06.28 |
5형식 구조 : S + V + O + to V (0) | 2023.06.28 |